[주일설교] 죽임과 부르심
“11 모세가 장성한 후에 한번은 자기 형제들에게 나가서 그들이 고되게 노동하는 것을 보더니 어떤 애굽 사람이 한 히브리 사람 곧 자기 형제를 치는 것을 본지라
12 좌우를 살펴 사람이 없음을 보고 그 애굽 사람을 쳐죽여 모래 속에 감추니라
13 이튿날 다시 나가니 두 히브리 사람이 서로 싸우는지라 그 잘못한 사람에게 이르되 네가 어찌하여 동포를 치느냐 하매
14 그가 이르되 누가 너를 우리를 다스리는 자와 재판관으로 삼았느냐 네가 애굽 사람을 죽인 것처럼 나도 죽이려느냐 모세가 두려워하여 이르되 일이 탄로되었도다
15 바로가 이 일을 듣고 모세를 죽이고자 하여 찾는지라 모세가 바로의 낯을 피하여 미디안 땅에 머물며 하루는 우물 곁에 앉았더라
16 미디안 제사장에게 일곱 딸이 있었더니 그들이 와서 물을 길어 구유에 채우고 그들의 아버지의 양 떼에게 먹이려 하는데
17 목자들이 와서 그들을 쫓는지라 모세가 일어나 그들을 도와 그 양 떼에게 먹이니라
18 그들이 그들의 아버지 르우엘에게 이를 때에 아버지가 이르되 너희가 오늘은 어찌하여 이같이 속히 돌아오느냐
19 그들이 이르되 한 애굽 사람이 우리를 목자들의 손에서 건져내고 우리를 위하여 물을 길어 양 떼에게 먹였나이다
20 아버지가 딸들에게 이르되 그 사람이 어디에 있느냐 너희가 어찌하여 그 사람을 버려두고 왔느냐 그를 청하여 음식을 대접하라 하였더라
21 모세가 그와 동거하기를 기뻐하매 그가 그의 딸 십보라를 모세에게 주었더니
22 그가 아들을 낳으매 모세가 그의 이름을 게르솜이라 하여 이르되 내가 타국에서 나그네가 되었음이라 하였더라
23 여러 해 후에 애굽 왕은 죽었고 이스라엘 자손은 ㅍ으니 그 고된 노동으로 말미암아 부르짖는 소리가 하나님께 상달된지라
24 하나님이 그들의 고통 소리를 들으시고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세운 그의 언약을 기억하사
25 하나님이 이스라엘 자손을 돌보셨고 하나님이 그들을 기억하셨더라”
우리는 종종 우리의 소명에 대해 고민합니다. 누가 우리를 부르며, 그 목적은 무엇인가? 모세의 이야기는 참된 소명은 사람에게서 오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께로부터 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모세는 그의 어머니, 바로의 딸, 그리고 그의 누이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들 중 누구도 그를 부른 것은 아니었습니다. 고통 속에서 신음하던 이스라엘 백성의 부르짖음 역시 모세를 향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것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모세의 이름을 불러 그를 부르신 것처럼 그분은 우리 역시 동일하게 부르십니다.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이사야 43장 1절)." 우리의 소명은 우연이나 사고가 아닌 하나님의 거룩한 부르심입니다.
그러나 소명을 받았다고 해서 쉬운 길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모세는 바로의 궁전에서 특권을 누리며 자랐지만 40년 동안 자기 백성의 고통을 외면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이집트인이 히브리인을 때리는 모습을 보고 그의 내면에서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이 권력자들과 함께 있는 것이 아니라 고통받는 자들과 함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우리도 삶 속에서 정체성과 소속감에 대해 고민할 때가 있습니다. 때로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이 준비하신 목적 속으로 우리를 인도하시기 위해 우리로 하여금 이러한 질문을 가지고 씨름하게 하십니다. 모세가 자기 백성을 자신의 것으로 인정하는 순간 지도자로서의 그의 여정은 시작되었습니다.
모세는 "경계 공간" 즉 전환과 과도기의 공간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는 이집트인과 히브리인의 두 정체성 사이에서 방황하며 자신의 존재를 정의하려 애썼습니다. 성경에서 이러한 "경계 공간"의 경험은 반복해서 등장합니다. 다윗은 왕이 되기 전, 위대한 전쟁 영웅이면서도 동시에 사울 왕, 즉 자신의 장인으로부터 도망 다니는 도망자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러나 가장 궁극적인 "경계 공간"의 삶을 사신 분은 예수님이십니다. 그분은 완전한 하나님이시면서도 완전한 인간이셨고, 죄 없으셨지만 깨어진 인간성을 깊이 공감하셨습니다. 예수님의 삶은 우리가 이러한 긴장 속에서 은혜 가운데 목적을 가지고 살아가는 법을 가르쳐 줍니다.
모세의 여정은 하나님의 부르심이 종종 이 경계의 영역과 준비의 시간을 포함한다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그는 바로의 궁정에서 자라며 지도력과 통치에 대한 지식을 쌓았고, 그것은 훗날 이스라엘을 인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집트인을 죽인 후 광야로 도망쳐야 했고, 그곳에서 목자로서의 겸손과 인내를 배웠습니다. 우리의 정체성의 혼돈과 인생의 경험들 역시 결코 낭비되는 법이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것들을 사용하여 우리를 준비시키시고, 그분의 일에 합당한 사람으로 다듬어 가십니다.
우리 각자의 인생의 여정 가운데 하나님께서 우리를 그분의 목적을 위해 빚어가고 계심을 신뢰하기를 바랍니다.
기도: 주님, 모세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이르기까지, 주님께서 부르신 이들의 삶을 통해 배우게 하심을 감사합니다. 그들 모두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지만, 주님께서는 그들에게 힘과 지혜, 그리고 주님의 뜻을 따를 용기를 주셨습니다. 우리도 동일한 인도를 구합니다. 우리의 교회와 공동체, 그리고 일상 속에서 주님의 부르심을 찾으며, 주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고 신뢰하며, 주님이 인도하시는 곳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참고: 이 요약본은 AI 초안을 근거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