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대 상자에 담긴 아기
“1 레위 가족 중 한 사람이 가서 레위 여자에게 장가 들어
2 그 여자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으니 그가 잘 생긴 것을 보고 석 달 동안 그를 숨겼으나
3 더 숨길 수 없게 되매 그를 위하여 갈대 상자를 가져다가 역청과 나무 진을 칠하고 아기를 거기 담아 나일 강 가 갈대 사이에 두고
4 그의 누이가 어떻게 되는지를 알려고 멀리 섰더니
5 바로의 딸이 목욕하러 나일 강으로 내려오고 시녀들은 나일 강 가를 거닐 때에 그가 갈대 사이의 상자를 보고 시녀를 보내어 가져다가
6 열고 그 아기를 보니 아기가 우는지라 그가 그를 불쌍히 여겨 이르되 이는 히브리 사람의 아기로다
7 그의 누이가 바로의 딸에게 이르되 내가 가서 당신을 위하여 히브리 여인 중에서 유모를 불러다가 이 아기에게 젖을 먹이게 하리이까
8 바로의 딸이 그에게 이르되 가라 하매 그 소녀가 가서 그 아기의 어머니를 불러오니
9 바로의 딸이 그에게 이르되 이 아기를 데려다가 나를 위하여 젖을 먹이라 내가 그 삯을 주리라 여인이 아기를 데려다가 젖을 먹이더니
10 그 아기가 자라매 바로의 딸에게로 데려가니 그가 그의 아들이 되니라 그가 그의 이름을 모세라 하여 이르되 이는 내가 그를 물에서 건져내었음이라 하였더라”
오늘 본문의 모세가 갈대상자에 담겨 나일강에 띄워진 장면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섭리가 어떻게 일상 속에서 작고 연약해 보이는 행동 가운데 이루어지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극적인 기적이나 명백한 표징이 없어 보이는 상황에서도, 어머니가 작은 믿음으로 석 달 동안 아이를 숨기고 갈대상자를 준비하는 그 ‘작은 실천’이 하나님의 큰 구원의 역사와 연결됩니다.
갈대상자는 쉽게 부서지고 물결에 휩쓸릴 수 있는 연약한 상징이지만, 그 속에서 하나님의 보호와 인도하심이 드러납니다. 바로의 공주가 아이를 발견하고 불쌍히 여기는 일, 그 과정에서 모세의 누나와 어머니가 관여하는 등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 하나님의 손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작은 믿음의 몸짓들은 당장 눈에 보이는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을 수 있지만, 하나님은 그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분이십니다.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실 때도 헤롯의 박해가 있었고, 예수님께서도 ‘아기로서’ 연약한 모습으로 오셨습니다. 그렇듯 하나님의 큰 구원 역사는 일상의 작은 사건과 순종을 통해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매일 새벽에 기도하고, 작은 순종을 실천하며, 하나님을 신뢰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갈대상자를 준비하는 행위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것들이 하나님 나라의 역사에 소중히 쓰임 받습니다. 전체 그림은 당장 보이지 않아도, 오늘 하루에 주어진 믿음의 순종이 언젠가 하나님께서 이루실 큰 그림에 한 부분이 됨을 믿고 걸어가야 합니다.
기도: 주님, 우리의 일상에서 작아 보이는 믿음의 실천을 통해서도 당신의 놀라운 구원 역사가 이루어짐을 믿습니다. 오늘도 작은 순종과 사랑을 실천하며 살 때에, 성령께서 우리를 깨우치고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그리하여 우리의 작은 걸음걸음이 당신의 큰 계획에 귀하게 쓰임 받고, 작은 기적들과 하나님 나라의 역사를 맛볼 수 있게 하옵소서.
(참고: 이 요약본은 AI 초안을 근거로 제작되었습니다.)
새벽기도회와 한국어 소그룹, 수요기도회, 그리고 개인의 말씀 묵상 자료로 사용합니다.